반응형 국제정세13 현재 중동지역에서 분쟁이 잦은 이유 앞선 포스팅에서 중동지역의 국경이 직선인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결국 1차 세계대전 이후, 오스만 제국의 몰락과 영국과 프랑스의 이해관계에 따라 자신들 마음대로 국경을 긋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중동지역의 직선 국경이 현재의 중동 정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차 대전이 끝난 이후에는 오스만 제국의 찬란했던 시절은 몰락하고 쪼개어지면서 오른쪽 사진과 같은 현대 중동의 지도가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오스만 제국이 쪼개어지고, 국경이 직선으로 그어지면서 2가지 부작용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첫 번째는 단일 집단으로 공동체를 꾸려왔던 사람들이 갑자기 찢어지게 된 것이고, 두 번째는 첫 번째와 반대로 정체성이 전혀 다른 사람들, 철천지 원수들이 하나의 나라로 .. 2023. 2. 13. 중동지역의 국경이 직선인 이유 보통 아시다시피 세계지도를 놓고 보면 대부분의 국경이 삐뚤빼뚤 합니다. 그 이유는 국경의 기준이 되는 것들이 일반적으로 산이나, 강 또는 바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영어로는 physiographie board demacation(자연환경적 국경)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중동국가들의 경우에는 대부분 직선국경을 갖고 있습니다. 이렇게 국경이 직선으로 그어진 경우는 전 세계적으로 10~20% 정도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자연환경적으로 만들어진 국경이 아닌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직선국경의 경우에는 영어로는 geometric board demacation(기하학적 국경)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남한과 북한이 북위 38도 선을 기준으로 나뉘어 있기 때문에 기하학적 국경을 갖고 있다고.. 2023. 2. 10. 중동지역 정의와 핵심 3지역 중동지역이란? 중동지역이란 어디를 말하는 걸까요? 일반적으로 인도와 아프리카, 유럽의 사이에 있는 지역을 중동으로 알고 있는데요, 사실은 중동이란 말은 상당히 어폐가 있습니다. 중동의 '동'은 동쪽이란 뜻인데 우리 입장에서는 동쪽이 아니라 서쪽입니다. 사실 중동이란 말은 미국의 입장에서 명명한 지역이며, 정확히는 서아시아 또는 서남아시아라고 부르는 게 맞습니다. 중동이란 말자체가 어떤 특정 나라 기준으로 중동지역이라고 부르기 때문에 학문적으로는 맞지 않습니다. 1963년도에 조지 칼시라고 하는 교수가 Middle East(중동)가 아니라 South West Asia(서남아시아)라고 부르자고 하지만 사람들이 동의를 해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미들이스트라고 하면 편하게 읽을 수 있으나, 사우스 웨스트 에이시.. 2022. 11. 26. 사우디아라비아가 네옴시티를 추진하게 된 배경 최근에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 빈 살만이 방한을 하면서 우리나라 재계 총수가 총출동하는 장면이 인터넷 기사와 뉴스를 장식했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중동 부자 하면 만수르가 생각나실 텐데요, 빈 살만은 이 만수르보다도 재산이 많고 그 규모가 2400조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빈 살만 앞에 우리나라 재계 총수들이 공손이 앉아 있는 모습이 전파되면서 여러 가지 짤로도 돌아다녔었는데요, 왜 빈 살만이 우리나라를 방한해서 업무 협약을 하고 돌아갔을까요? 바로 네옴 시티 프로젝트 때문입니다. 네옴 시티란? 네옴 시티란, 사우디아라비아의 빈 살만 왕세자가 2016년에 발표한 사우디 비전 2030이라는 프로젝트 중 하나입니다. 이 비전 2030이라는 프로젝트는 12개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하.. 2022. 11. 2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