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 이야기8

내연기관차(ICEV)차와 전기차(BEV)의 차이 자동차를 움직이게 하는 동력의 종류에 따라 내연기관차(ICEV), 하이브리드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순수 전기차(BEV), 수소연료전지 전기차(FCEV)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각의 동력원의 차이를 간단히 설명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내연기관차 : 엔진 하이브리드차 : 엔진과 모터(배터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 엔진과 모터(배터리) + 외부 충전 가능 순수 전기차 : 모터(배터리 : 외부 충전) 수소연료전지 전기차 : 모터(연료전지 : 수소의 화학반응을 통한 전기 생산) 동력원의 방식을 가지고 나누면 위와 같이 5가지로 나눌 수 있지만, 크게 분류를 하면 엔진과 모터(배터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엔진을 주 동력원으로 하는 내연기관차와 배터리를 주 동력원으.. 2022. 11. 18.
자동차 산업의 변화된 미래 모습 예상 앞선 글에서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공통된 부분과 차이점 및 어떤 부품들이 다르게 적용되는지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면 이번 글에서는 이 달라진 부품들로 인해서 자동차 산업에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 전환되면서 엔진 및 변속기 관련 부품들이 전부 없어지고 배터리와 모터 그리고 전력 변환장치가 들어가게 됩니다. 연료를 산소와 혼합하여 폭발시킨 힘을 회전력으로 바꾸는 장치인 엔진과 그 엔진의 힘을 효율적으로 자동차 바퀴로 전달해 주는 변속기는 장치가 복잡한 만큼 관련 부품도 엄청 많습니다. 한국 수출입은행에서 발표한 자료를 가지고 하나씩 보겠습니다. 자료에서 보시면 이 엔진 관련 부품만 내연기관에서는 6900개가 들어가는데 전기차에서는 다 빠집니다. 그다음 변속기를 포.. 2022. 11. 3.
전기차 시대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변화(1) - 내연기관차의 종말 이번 글은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에 따른 자동차 산업이 어떻게 변화할 건지에 대해서 한번 작성해 볼 건데요, 글의 용어들은 될 수 있으면 쉽게 적어볼 생각이니, 혹시 전문용어가 아니더라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글의 순서는 아래와 같이 작성할 예정입니다. 내연기관의 현재 상황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구조적 차이 자동차 산업의 변화 예측 우선 내연기관차의 현재 상황에 대해서 먼저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연기관차의 종말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내연기관차가, 영원할 것 같은 내연기관차의 수명이 점점 다해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시발점이 된 것이 기후변화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기후변화 즉, 지구 온도의 급격한 상승으로 지구 곳곳에서 폭염이 발생하거나 또는 반대로 한파가 발생하기도 하고요... 이.. 2022. 11. 3.
1. 전기차의 원리 및 핵심 부품 전기차의 핵심부품 다섯 가지 첫 번째로 전기모터(유도전동기)가 있습니다. 내연기관 차량의 엔진에 해당되며, 전력 에너지를 받아 동력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동기로써 가장 핵심적인 부품 중에 하나입니다. 두 번째는 컨버터입니다. 외부에서 배터리로 충전을 할 때 교류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해주는 장치입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쓰는 전력은 교류 전력을 쓰고 있는데, 자동차의 배터리는 이를 직류 형태로만 전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를 위해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변환해주는 장치가 바로 컨버터입니다. 세 번째는 인버터입니다. 컨버터가 교류를 직류로 바꿔준다면, 인버터는 반대로 직류전류를 교류전류로 변환해 줍니다. 우리가 외부에서 교류형태의 전류를 직류 형태로 배터리에 저장을 하면(컨버터를 이용) 이 저장된.. 2022.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