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의 팁13

연말정산을 위한 연금저축과 IRP, 모르고 하면 세금폭탄 맞습니다. 요새 연말이 다가오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연말정산에 대해서 관심이 많이 가실 겁니다. 사실 연말정산은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연말에 다가왔을 때는 사실할 수 있는 부분이 없긴 합니다. 다만 그중에서 연말정산 대비해서 조금이라도 더 돌려받기 위해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이 있는데, 바로 연금저축과 IRP입니다. 오늘은 바로 이 연금저축과 IRP에 대해서 놓치기 쉽고, 잘 모르면 나중에 세금폭탄을 맞을 수도 있는 그런 부분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연말이 다가오면서 퇴직을 계획을 하셨던 분들은 이번 글을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연금저축과 IRP 일반적으로 알려진 연금계좌에는 연금저축계좌와 퇴직연금계좌가 있습니다. 연금저축계좌에는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이라.. 2022. 12. 8.
2023년 연말정산과 팁(2편) 1편에 이어서 연말정산에 대한 팁 2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 소득공제란 내가 번 소득에서 소득공제만큼 안 번 걸로 해주겠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소득공제가 50만 원이라고 하고, 나의 1년 동안의 소득이 4000만 원이라면, 소득공제 100만 원을 뺀 3950만 원만 번 걸로 해준다는 거죠. 그래서 3950만 원에 해당하는 과세표준의 세율을 곱해서 세금이 결정됩니다. 세액공제란, 나의 1년 동안의 소득이 4000만 원이라고 가정하면, 4천만 원이라는 과세표준에 해당하는 세율을 곱하면 산출세액이 나오고 그 산출된 세액에서 빼주는 게 세액공제입니다. 그래서 소득공제 50만 원과 세액공제 50만 원 중에서는 당연히 세액공제가 유리합니다. 왜냐하면 소득공제가 과세표준에 대해서 .. 2022. 12. 2.
연말정산에 대해서 알아두면 좋은 지식(1편) 어느새 11월이 거의 다 지나가면서 곧 12월이자 연말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 해가 지나고 나면 꼭 해야 되는 게 하나 있죠. 13월의 월급이라고 말하는 연말정산입니다. 모두 다 아시다시피 연말정산은 모두가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까닥 잘못했다가는 환급받기는커녕 세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으니까요. 귀찮긴 하지만 조금만 더 관심을 가지면 세금으로 나가는 돈을 줄일 수 있으니 공부 조금이라도 해서 돈을 돌려받을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은 왜 해야 하는가? 연말정산 시즌만 되면 그동안 사용했던 내역도 준비해야 되고 서류도 만들어야 되고, 업무로 바쁜데 왜 해야 할까요? 연말정산이란 "급여소득에서 원천징수한 세액의 과부족을 연말에 정산하는 일"입니다. 결국 1년 동안 미리 냈던 .. 2022. 11. 27.
부산시 다둥이 카드(가족사랑카드) 혜택 정리 이번에는 부산시에서 신청할 수 있는 다둥이카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산시 다둥이 카드는 가족사랑카드라는 이름으로 발급되고 있으며, 서울시와 같이 신분확인용 카드(결제 기능 없음)와 신한카드에서 발급하는 신용(체크) 카드 2가지로 발급이 가능합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서울이나 경기도와 다르게, 세 자녀 이상의 가정에 한해 발급이 됩니다. 요즘과 같은 저출산 시대에 두 자녀에게도 혜택을 준다면 더 좋을 텐데 말이죠. 또 다른 점은, 서울이나 경기도는 신분확인용 카드나, 신용카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재직증명서나, 소득 증빙자료와 같은 서류들이 필요하나, 부산 가족사랑카드의 경우에는 B PASS라는 앱으로 신청하거나, ARS로 신청하기 때문에 서류 준비 측면에서는 수도권보다는 덜 까다로운 것 같습니.. 2022. 11. 24.
반응형